
도대체 공매도가 뭐길래? '공매도' 다들 한번쯤은 뉴스를 통해서 들어보셨을텐데요.
오늘은 공매도의 뜻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공매도란 한자로 [ 빌 공空 + 매도(판다) = '없는 것을 판다' ] 라는 의미입니다.
원래는 주식을 가지고 있어야 매도(판매)가 가능하잖아요?
그런데 주식을 가지고 있지 않는데 파는 행위를 말해요!
오잉? 주식을 가지고 있지 않는데 어떻게 팔아요?
바로,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빌려서 팝니다!
그럼 왜요? 왜 주식을 빌려서 팔까요?
그 이유에 대해서는 더 자세히 예를 들면서 설명해드릴께요.
보통 주식으로 돈을 벌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네, 맞습니다. 내가 산 주식이 오르면 돈을 벌겠죠?
하지만 공매도는 그 반대에요. 주가가 떨어지면 돈을 법니다.
앞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일단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주식을 빌려요.
예를 들어 한 주에 10000원인 주식을 빌렸다고 치죠. 나는 이 주식이 떨어질것이라고 예상해요.
그래서 빌리자마자 10000원에 팔아버렸어요.
그럼 내 수중엔 10000원이 있죠? 그리고 주가는 예상대로 8000원으로 떨어졌어요.
그럼 나는 다시 주식을 삽니다. 10000원짜리였던 주식이 80000원이 됐으니 사고나면 2000원이 남겠죠?
즉, (8000원짜리)주식 + 나머지 2000원이 제 수중에 남겠죠?
그럼 다시 주식을 빌려준사람에게 주식으로 갚습니다. 아까 빌렸으니까요.
주식을 갚고나서 저는 2000원을 벌었습니다.
이런 거래 방식을 공매도 거래방식이라고 해요.
즉, 쉽게 말해서 주가가 떨어질 것을 예상해 주식을 빌려 판매하고, 그 차익을 취하는 것입니다.
그럼 왜 공매도를 법적으로 금지하거나, 이를 싫어하는 사람들이 많은것일까요?
간단하게 설명하면, 주가를 좋지 못한 방법으로 떨어트리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은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올라야 돈을 버는데, 그와 반대로 떨어트리기 위해
시장에 가짜뉴스를 퍼트려 주가를 고의로 떨어트리게하는등의 부당한 방법을 이용해
주식시장 자체의 혼란을 야기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되면 개인투자자들(개미)이 손혜를 보기 마련이죠.
물론 주식시장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거나 연속성을 유지하는등의 일부 순기능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요즘 같이 개인투자자들이 늘어난 주식시장에서 공매도는 좋은 관점으로 보여지기 어렵습니다.
이상으로 공매도의 뜻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수익률 계산기 최초 공개, 그냥 이거 쓰세요! (0) | 2021.02.13 |
---|---|
2021년 설날 인사말 (0) | 2021.02.11 |
일론머스크 재산, 가족, 트위터 (0) | 2021.02.11 |
학점 올리는 법, 1점에서 4점으로 올린 실제 방법!! (0) | 2020.12.05 |
댓글